CS 스터디 28

[전송 계층] 1. 전송 계층의 개요

전송 계층이란?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은 계층 구조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프로토콜 내에서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송 계층은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 그리고 다중화와 같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류를 점검하고, 오류 발생 시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요청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를 식별 대표적인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는 TCP, UDP가 있다. TCP 는 연결형, UDP는 비연결형 통신이다.

[응용 계층] 5. SMTP / POP3 & IMAP4

응용계층에는 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있다. 메일을 송신하는데에 SMTP , 메일을 수신하는데에 POP3나 IMAP4을 사용한다. 1.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사용자 컴퓨터에서 메일 서버로 송신, 메일 서버 사이의 통신에서 사용된다. SMTP는 25번 포트를 사용한다. SMTP 동작 흐름 세션 시작을 통지한다. 송신자의 메일 주소를 통지한다. 목적지 메일 주소를 통지한다. 메일 본문 전송을 통지한다. 메일 본문을 송신한다. 세션 종료를 통지한다. SMTPS SMTP Secure로 SMTP에 보안을 적용한 프로토콜이다. SMTP는 메일 내용이 암호화되지 않아 스니핑을 통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다. 2. POP3 (Post Office Protocol) P..

[응용 계층] 4. FTP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TCP/IP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들이 파일을 교환하기 위해 1971년에 최초로 공개된 통신 규약이다.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들이 파일을 교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FTP에는 20번, 21번 포트를 사용하는데 20번 포트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21번 포트는 명령과 응답 등의 제어정보를 위해 사용된다. FTP 전송모드 전송모드 기본 값은 Active Mode이고 클라이언트가 Active 또는 Passive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포트 요청은 Active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Passive의 경우 서버가 요청한다. 1) 능동 연결 (Active mode)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21번 포트로 접속 후 명령을 송수..

[응용 계층] 3. HTTP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HTTP가 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다. HTTP 기반 시스템의 구성요소 HTTP는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로 TCP/IP 위에서 작동한다. 클라이언트는 웹 사이트를 보기 위해 서버의 80포트를 사용해서 HTTP 통신을 한다. 클라이언트에서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에서 HTTP 응답을 반환한다. 요청과 응답 사이에는 게이트웨이 또는 캐시 역할을 하는 프록시 등이 있다. 1. 클라이언트 :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를 대신하여 동작하는 모든 도구, 주로 브라우저가 수행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서 HTML 문서를 가져오기 위한 요청, 파일 내의 하위 리소스를 위..

[응용 계층] 2. DNS 서버

DNS(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 외우기 어려운 IP 주소를 URL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즉, 주소창에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DNS 서버가 웹 사이트의 IP 주소로 변환한다. 이때 www.google.com에서 google.com 처럼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을 도메인 이름이라고 하고, 도메인 이름 앞에 있는 www 는 호스트(서버) 이름이라고 한다. 컴퓨터와 DNS 서버의 통신 과정 1. 컴퓨터 -> DNS 서버 : 도메인 이름의 IP 주소 묻기 2. DNS 서버 -> 컴퓨터 : 해당 도메인 이름의 IP 주소 응답 3. 컴퓨터는 해당 IP 주소로 서버 접속 DNS 서버가 도메인의 IP 주소를 모를 경우? DNS 서버가 전 ..

[응용 계층] 1. 응용 계층 개요

1.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의 역할 - 세션계층과 표현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동작하는 계층을 응용 계층이라고 한다. 응용계층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하기 위해 서버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하고 전송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 측의 어플리케이션이 서버 측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응용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대표적인 응용계층 프로토콜 DNS HTTP FTP SMTP

1. 네트워크 기초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이란? 다른 두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서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안한 7단계 표준화 프로토콜 즉, 두 기기가 서로 통신하는 과정을 표준화 한 것 구성 물리계층 - 데이터링크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계층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응용 계층 물리,데이터링크,네트워크, 전송계층은 하위 계층, 세션, 표현, 응용계층은 상위 계층이다. 1. 물리계층 ( Physical Layer)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물리계층에서 통신 단위는 비트이며 1과 0으로 나타내어지는 방식이다. 데이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만 한다. - 기기 : 통신 케이블, 리피터,..

[저장장치] 3. RAID

자동으로 백업을 하고 장애가 발생하면 이를 복구하는 시스템으로, 동일한 구격의 디스크를 여러 개 모아 구성하며 장애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를 복구하는 데 사용된다. 디스크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RAID 0,1,2,3,4,5,6,0+1,10,50,60 등이 있다. RAID 0 (스트라이핑) RAID 0은 병렬로 연결된 여러 개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동시에 입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4개를 저장하는 경우 , 일반 방식에서는 순서대로 네 번 저장하지만 RAID 0에서는 4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한다. 이렇게 데이터를 여러 갈래로 찢어서 저장하기 때문에 RAID 0을 스트라이핑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RAID 0 에서는 같은 규격의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하여 여러 개의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동시에 저장..

[저장장치] 1. 디스크 장치

1. 하드디스크 - 같은 용량의 메모리보다 훨씬 싸고 데이터도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 메모리를 보조하는 장치라는 의미에서 제2저장장치라고도 불린다. - 스핀들이라는 원동 축에 여러 개의 플래터가 달려있다. 플래터 플래터는 표면에 자성체가 발려 있어 자기를 이용하여 0과 1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플래터의 표면이 N극을 띠면 0으로, S극을 띠면 1로 인식한다. 플래터는 보통 2장 이상으로 구성되며 항상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7500 rpm은 플래터가 1분에 7500바퀴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는 의미이다. 한 플래터의 위아래 표면을 다 사용한다. (일부 모델은 맨아래나 맨 위를 사용 안하는 경우도 있음) 섹터와 블록 물리적인 개념인 섹터(sector)는 하드디스크의 가장 작은 저장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