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ound Robin
: 프로세스를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일정 시간씩 실행하는 스케쥴링 기법
시간 할당량(time quantum)이라고 하는 작은 단위의 시간을 정의하고, 준비 완료 큐에 있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한번에 한 시간 할당량 동안 CPU를 할당
2. 선점 우선순위
: 준비 큐에 프로세스가 도착하면, 도착한 프로세스의 우선순위와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프로세스에 프로세서를 할당하는 방식
- 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FIFO 순서로 스케쥴링 실행
3. SRT 스케쥴링(Shortest Remaining Time Scheduling)
: 잔여 시간이 가장 적은 순서대로 실행
- 선점형 SJF(Shortest Job First)라고 불린다.
4. 다단계 큐 스케쥴링
: 다단계 큐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준비 완료 큐를 다수의 별도의 큐로 분류하여 수행하는 방식
- 우선순위마다 준비 큐 형성
- 항상 가장 높은 우선순위 큐의 프로세스에 CPU를 할당
- 우선순위가 낮은 큐에서 작업 실행 중이더라도 상위 단계의 큐에 프로세스가 도착하면 CPU를 빼앗는 선점형 스케줄링
(단점)
- 한번 큐에 할당되면 다른 큐로 이동 불가능
- 적은 스케쥴링 오버헤드가 단점이지만 융퉁성이 적다
5. 다단계 피드백 큐 스케쥴링
- 다단계 피드백 큐 스케줄링 알고리즘에서는 프로세스가 큐들 사이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
- CPU 시간을 너무 많이 사용하면, 낮은 우선순위 큐로 이동
- 입/출력 중심의 프로세스와 대화형 프로세스들은 높은 우선순위의 큐로 이동
- 이러한 Aging(노화) 형태는 기아 상태를 예방
- 다단계 큐 스케쥴링의 단점 극복
'CS 스터디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 동기화] 1. 프로세스 간 통신 (0) | 2023.08.02 |
---|---|
[스케쥴링] 3. 비선점 스케쥴링 (0) | 2023.07.29 |
[스케쥴링] 1. 스케쥴링 (0) | 2023.07.28 |
[쓰레드] 3. 멀티코어와 멀티쓰레딩 (0) | 2023.07.20 |
[쓰레드] 2. 쓰레드의 유형 /사용자 수준 쓰레드와 커널 수준 쓰레드 (0) | 2023.07.19 |